
Zoho Writer
Zoho Writer는 클라우드 기반 문서 작성 플랫폼으로 호환성이 뛰어난 오피스 프로그램입니다. 특히 구글 독스나 MS 오피스의 대안으로 자리잡으며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.
Zoho Writer 사양
항목 | 내용 |
---|---|
개발사 | Zoho Corporation |
지원 OS | Windows 7, Windows 8, Windows 10, Windows 11, macOS |
최근 업데이트 | 2025-09-02 |
최신 버전 | 3.4.9.0 |
카테고리 | 생산성 |
파일 크기 | 274MB |
라이센스 | 무료 |
지원 언어 | 한국어, 영어, 스페인어, 일본어, 중국어, 프랑스어 |
주요 기능

뛰어난 문서 작성 기능
일반 오피스 프로그램과 호환이 가능한 문서 작성(워드) 기능을 제공합니다. 특히 글 작성 반응 속도가 매우 빨라 장편의 글을 쓰기에 좋습니다. 특히 많은 글자를 입력해야 하는 작가나 칼럼니스트, 평론가들에게 적합합니다.
클라우드 기반 기기 동기화
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별도의 설치 없이 프로그램 사용이 가능하며 Windows, macOS, Linux뿐만 아니라 iOS, Android에서도 동일한 환경을 제공합니다. 오프라인 모드도 지원해 네트워크가 끊겨도 작업을 이어갈 수 있고 연결이 복구되면 작성된 내용은 자동 동기화됩니다.
실시간 공동 편집
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문서를 편집할 수 있으며 편집자별 실시간 변경 사항과 댓글·제안 모드로 효율적인 팀 협업이 가능합니다. 또한 변경 추적과 권한 제어(읽기 전용·댓글 전용·편집 가능)를 통해 보안과 협업성을 동시에 확보합니다. 이러한 협업 기능은 팀별 프로젝트를 완성하기에 매우 좋은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풍부한 문서 템플릿 제공
계약서, 제안서, 보고서, 뉴스레터 등 다양한 비즈니스 템플릿이 내장되어 문서 작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. 모든 템플릿은 업계 표준을 반영해 제작되었으며, 브랜드 로고나 회사 정보를 삽입해 맞춤형 문서로 쉽게 수정 가능합니다.
MS 오피스 호환성
워드 파일인 DOCX 파일을 변환 없이 직접 열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. 편집이나 글 작성이 완료되면 다시 DOCX로 저장해 MS 오피스 사용자와의 협업도 문제없이 진행됩니다. 복잡한 서식, 표, 이미지, 헤더/푸터까지 정확히 재현해 여러 환경에서도 원활한 호환성을 보장합니다.

자동 저장 및 문서 버전 관리
작성한 모든 내용이 실시간 자동 저장되며 문서별 버전 히스토리로 특정 시점으로 되돌리기와 수정 이력 확인이 가능합니다. 이를 통해 작업 중 실수나 협업 중 발생하는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사용자가 백업본을 별도로 신경쓰지 않이도 된다는 점이 가장 편리합니다.
Zoho 생태계 연동
Zoho CRM, Zoho Projects, Zoho Mail 등 30개 이상의 Zoho 앱과 완벽히 통합됩니다. 고객 데이터 삽입, 프로젝트 정보 연동, 이메일 공유까지 하나의 계정으로 관리 가능하며 데이터 사일로 없이 통합 업무 환경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
장점 및 단점
장점
- ✅협업 기능에 최적화됨
- ✅MS Word와 높은 호환성
- ✅클라우드 기반으로 접근성 뛰어남
- ✅다양한 문서 템플릿 제공으로 초안 작성에 좋음
단점
- ❌경쟁 프로그램에 비해 사용자층이 매우 적음
- ❌종합적인 오피스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음
- ❌비즈니스 템플릿은 영문 전용으로 한국어 지원 미흡함
- ❌대규모 문서 처리 속도는 떨어질 수 있음
FAQ
Zoho Writer는 무료인가요?
네, 개인 사용자 기준으로 기본 기능은 무료로 제공됩니다. 다만 기업용 실시간 협업 기능은 유료 플랜에서 제공됩니다.
Zoho Writer는 어떤 상황에서 유용한가요?
원격 근무 환경에서 팀 단위로 문서를 작성하거나, Zoho 생태계를 활용하는 기업에서 문서 관리와 협업을 동시에 해결할 때 유용합니다.
Zoho Writer에서 오프라인 편집이 가능한가요?
네, Zoho Writer는 오프라인 편집 기능을 지원합니다. 브라우저나 데스크톱 앱에서 한 번 로그인 후 문서를 열어두면, 인터넷이 끊겨도 작성과 수정이 가능합니다. 오프라인 상태에서 작업한 내용은 네트워크가 복구되면 자동으로 동기화되어 원래 문서에 반영되므로 별도의 저장이나 업로드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습니다.